<p></p><br /><br />온라인에서 공유되고 있는 이미지입니다.<br><br>유엔(UN) 로고가 보이죠.<br><br>"UN이 새로운 연령 구분을 발표했다"면서, 0세부터 17세까지는 미성년자, 18세부터 65세는 청년, 100세는 장수 노인 등 5단계로 연령을 구분한다는 내용인데요. <br> <br><br><br><br>정말 유엔에서 65세를 청년으로 보는 새 연령 구분을 발표한 건지 알아봤습니다. <br> <br>먼저, 이런 내용이 온라인에서 얼마나 확산됐는지 알아봤습니다. <br> <br>팩트맨팀이 포털사이트에서 'UN 새로운 연령'을 검색해봤는데요. <br> <br>각종 언론 보도부터, 출판물, 정치권 자료 등에서 인용되고 있었습니다. <br> <br>한 방송사 프로그램에서는 "유엔이 발표한 새 연령 분류로, 청년은 몇 세"인지 문제를 내고 "18세에서 65세가 정답"이라 밝히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사실 확인을 위해 팩트맨이 UN 내 인구 분야를 담당하는 유엔인구기금(UNFPA)과 세계보건기구(WHO)에 직접 문의해봤습니다.<br><br><br> <br>유엔인구기금 관계자는 "왜 이런 정보가 나왔는지 모르겠다"고 밝혔는데요. <br> <br>세계보건기구도 "잘못된 정보"라며 "세계보건기구는 60세 이상은 노인으로 본다" 전해왔습니다.<br><br><br><br>세계보건기구와 유엔인구기금은 각종 통계에서 청년을 '15세부터 24세'로 분류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국내에선 청년을 몇 살까지로 볼까요.<br><br>통계청 청년실업률에선 청년층을 15세~29세로. 지난해 제정된 청년 기본법에서는 19세 이상 34세 이하를 청년이라 말합니다. <br> <br>결론적으로 유엔이나 세계보건기구가 새 연령 구분법을 발표했다는 내용, 잘못된 정보였는데요. <br> <br>평균 수명이 늘어나며 은퇴 후에도 건강하고 활동적인 노년층이 주목받자, 그럴듯한 정보처럼 확산된 걸로 보입니다. <br> <br>서상희 기자 <br>with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윤재영 <br>연출·편집: 황진선 PD <br>구성: 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 : 고정인, 유건수 디자이너